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버스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wwe자버스챔.png
WWE 자버스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단테 첸
챔피언 등극2023년 10월 7일
NXT 레벨 업
이전 챔피언드류 굴락
이전 명칭스맥다운 자버스 챔피언십
단체프로 레슬링 갤러리
소속 브랜드WWE
벨트 창설일2011년 1월 19일

파일:AEW자버스챔.png
AEW 자버스 챔피언십
현재 챔피언조라 졸
챔피언 등극2021년 9월 30일
AEW 다이너마이트
이전 챔피언존 실버
단체프로 레슬링 갤러리
소속 브랜드AEW
벨트 창설일2021년 8월 26일

1. 개요
2. 규칙
2.1. 기본 규정
2.2. 그랜드 슬래버(Grand Sla-bber)
2.3. 홀 오브 자버
3. 기록
3.1. 역대 챔피언 목록
3.1.1. WWE 자버스 챔피언십 [1]
3.1.2. RAW 자버스 챔피언십
3.1.3. AEW 자버스 챔피언십
3.2. 역대 홀 오브 자버
3.2.1. 2021년 이전
3.2.2. 2021년 이후
3.3. 역대 그랜드 슬래버
3.3.1. 2021년 이전
3.3.2. 2021년 이후
4. 기타



1. 개요[편집]


WWEAEW존재하지 않는 프로 레슬링 갤러리(이하 프갤) 전용 비공식 챔피언십으로 탄생의 계기는 WWE에서 활동한 많은 자버들의 노력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벨트.

프갤에서 자버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던 시점에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그 덕택에 WWE 챔피언십, WWE 유니버설 챔피언십과 함께 높은 관심을 받는 벨트다. 다만 두 개의 월드 챔피언 벨트와 달리 이 챔피언십은 자버의 뜻과 같이 WWE에서 많이 지는 선수들이 얻는 챔피언십이다. 즉, 타이틀을 딸 확률이 높은 선수들은 존오공이나 랜지터 같은 메인 이벤터들에게 5~7분 정도에 발리는 미드카더 아니면 말 그대로 자버들...

그래도 이 챔피언십에는 흥행 요소가 있는 편인데 사실 그것보단 프갤러들 때문에 그리고 WWE 각본진들의 도움으로 챔피언이 되는 선수들은 주로 예나 지금이나 모든 경기에서 패하는 선수들보단 예전의 위상에 비해 추락해서 슬럼프에 빠진 선수들DTD에게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 편이다. 물론 완전 자버들도 챔피언은 된다.

때문에 저런 선수들이 급부활해서 잘 나가던 선수 혹은 챔피언을 잡는 경우, 자버라고 부르기 힘든 위치의 선수가 챔피언이 되는 경우도 있고, 벨트 위상도 웬만한 챔피언십과 동급이 되는 경우도,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상황이 얽히는 방향에 따라선 랜디 오턴도 즉위하였으니 존 시나 또한 챔피언이 되는 것도 볼 수 있을지도...

의외로 WWE의 공식 챔피언십과 얽혀서 같이 변경된 경우도 종종 나오는 편이다. 초창기에는 자버스 챔피언이 US 챔피언을 잡는 경우가 창설 후 1년동안 무려 3번이나 나왔다. 2015년과 2017년에는 당시 WWE 챔피언이던 세스 롤린스진더 마할이 자버스 챔피언에 오르는 코믹한 상황이 연출됐다.

WWE 자버스 챔피언십이기에 WWE에 소속된 레슬러들 혹은 인물 등을 대상에 한정되나, 챔피언 자리가 공석이 될 경우 프갤러들의 투표로 챔피언을 뽑게 되는데 이때 프갤에서 이슈가 된 인물이 누구냐에 따라 WWE와 전혀 관련이 없던 뜬금없는 사람이 챔피언이 된 경우도 있다. 아니면 그냥 프갤의 적이라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쯤되면 놀려먹을 용도라는 건 이미 확정.

간략한 룰을 설명하자면 타 챔피언십처럼 챔피언과 도전자의 경기 결과로 챔피언이 결정나는데, 이긴 선수가 아닌 패하는 선수가 챔피언이 된다. 챔피언이 되어도 좋아할 수가 없는 이유. 그런데 1:1 경기 룰만으로 한정 짓기엔 애매한 경우[2]가 있기에 꽤나 자세한 규칙이 생겼다.

1년동안 자버스 챔피언에 3번 오르거나 챔피언을 6개월 이상 보유할 경우 자버들의 명예의 전당인 홀 오브 자버에 헌액되며[3], 홀 오브 자버에 3번 오르거나 자버스 챔피언을 1년에 6번 획득할 경우, 영구결번과 같은 그랜드 슬래버에 오르게 된다. 2016년 3월 24일 기준 홀 오브 자버는 총 8명이 나온 상태.

2017년이 되고, 드래프트로 인해 RAW와 스맥다운으로 나뉘자 프갤 내에서도 자버챔을 2개로 나누자는 의견이 나왔고, 이를 받아들여 자버챔을 RAW 자버스 챔피언, 스맥다운 자버스 챔피언으로 나눈다. 당시 자버챔이였던 사이먼 고치가 스맥다운 소속이였으므로 기존의 자버챔은 스맥다운 자버스 챔피언십이 되고, RAW에 새로운 자버스 챔피언십이 생긴다. 이게 뭐라고

2018년 셰이크업으로 인해 스맥다운 자버챔이던 모조 롤리가 RAW로 건너가면서 양대 자버스 챔피언이 모두 RAW로 가버렸다.

그리고 2019년 6월 19일, 린세 도라도가 통합 자버스 챔피언십에 모두 등극을 해버리는 사태가 일어났고, 결국 그 다음 날인 6월 20일 RAW 자버스 챔피언십이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스맥다운 자버스 챔피언쉽이 다시 WWE 자버스 챔피언십으로 변경됐다.

한동안 잊혀졌으나 2021년 8월 22일 AEW 자버스 챔피언십의 신설과 함께 WWE 자버스 챔피언십 역시 부활했고, 투표를 통해 WWE는 진더 마할, AEW는 숀 스피어스가 선정되었다. 허점이 있던 룰 또한 개정되었으며 기존 홀 오브 자버와 그랜드 슬래버의 위치를 바꿨다.


2. 규칙[편집]



2.1. 기본 규정[편집]


  • 1대1 경기에서 자버스 챔피언에게 진 선수가 자버 챔피언이 된다.
  • 태그팀 경기에서는 자버스 챔피언이 다른 선수를 직접 핀폴이나 서브미션으로 승리했을 경우 자버스 챔피언에게 패한 선수가 챔피언이 된다.
  • 엘리미네이션 챔버 같은 제거 경기에서는 자버스 챔피언이 제거한 선수가 챔피언이 된다.
  • 로얄 럼블, 배틀 로얄 매치 등 링 밖으로 제거하면 끝나는 경기도 포함하며 제거한 사람이 여럿일 경우 첫 제거자에게 챔피언을 수여한다.
  • 자버스 챔피언이 단체에서 방출될 경우, 마지막으로 상대한 선수가 자버스 챔피언을 이어받는다.
  • 자버스 챔피언이 부상을 당하여 1달 이상의 공백을 갖게 되면 마지막으로 상대한 선수가 자버스 챔피언을 이어받는다.
  • 각 단체에서 활동하지 않을 경우(ex. 지역 레슬러, 연예인 등) 챔피언을 이어받지 않는다.
  • TV 쇼나 PPV 또는 공식 유튜브 등에 업로드 된 경기만을 챔피언십 기준으로 삼는다.
  • 등극 및 박탈 날짜는 한국 시각으로 계산한다.


2.2. 그랜드 슬래버(Grand Sla-bber)[편집]


  • 자버스 챔피언을 6달 이상 연속으로 보유하거나 1년에 6번 이상 오르면 등극
  • 그랜드 슬래버는 한 번 헌액되면 영구적인 기록에 남으나, 추가 헌액을 위해 연도별 분리

ex. 2021년 그랜드 슬래버가 2022년 그랜드 슬래버로 기록되는 것이 가능)


2.3. 홀 오브 자버[편집]


  • 자버 챔피언을 1년 이상 연속 보유하거나 1년에 6번 이상 오르거나, 그랜드 슬래버에 3번 이상 오르면 등극


3. 기록[편집]



3.1.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홀 오브 자버 등극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3.1.1. WWE 자버스 챔피언십 [4] [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참고
1테드 디비아시 주니어1회2011년 1월 19일 (6일)프갤[5]
2대니얼 브라이언1회2011년 1월 25일 (6일)NXT[6]
3타이슨 키드1회2011년 1월 31일 (79일)RAW
4요시 타츠1회2011년 4월 19일 (30일)NXT
5타이슨 키드2회2011년 5월 19일 (8일)WWE 슈퍼스타즈
6트렌트 바레타1회2011년 5월 26일 (90일)WWE 슈퍼스타즈
7타이슨 키드3회2011년 8월 23일 (36일)NXT
8퍼시 왓슨1회2011년 9월 27일 (30일)NXT[7]
9사아기1회2011년 11월 6일 (7일)프갤 투표[8]
10존 모리슨1회2011년 11월 7일 (1일)프갤 투표[9]
11돌프 지글러1회2011년 11월 8일 (12일)RAW[10]
12존 모리슨2회2011년 11월 20일 (24일)WWE 서바이버 시리즈(2011)
13잭 스웨거1회2011년 12월 14일 (33일)프갤 투표[11]
14잭 라이더1회2012년 1월 16일 (12일)RAW[12]
15에피코1회2012년 1월 29일 (5일)WWE 로얄럼블(2012)[13]
16산티노 마렐라1회2012년 2월 3일 (17일)스맥다운
17코디 로즈1회2012년 2월 20일 (25일)WWE 엘리미네이션 챔버(2012)[14]
18그레이트 칼리1회2012년 3월 16일 (7일)스맥다운
19돌프 지글러2회2012년 3월 23일 (41일)스맥다운[15]
20메이슨 라이언1회2012년 5월 3일 (256일)WWE 슈퍼스타즈
21텐사이1회2013년 1월 14일 (17일)프갤 투표[16]
22타이터스 오닐1회2013년 1월 31일 (29일)WWE 메인 이벤트
23대니얼 브라이언2회2013년 3월 1일 (3일)스맥다운[17]
24대런 영1회2013년 3월 4일 (70일)RAW
25브로더스 클레이1회2013년 5월 13일 (4일)RAW
26대런 영2회2013년 5월 17일 (39일)스맥다운
27브로더스 클레이2회2013년 6월 25일 (158일)WWE 메인 이벤트
28재비어 우즈1회2013년 11월 29일 (162일)스맥다운
29데미안 샌도우1회2014년 5월 9일 (14일)스맥다운
30알 트루스1회2014년 5월 23일 (67일)스맥다운
31보 댈러스1회2014년 7월 28일 (29일)RAW[18]
32코피 킹스턴1회2014년 8월 25일 (30일)RAW
33보 댈러스2회2014년 9월 23일 (7일)WWE 메인 이벤트
34마크 헨리1회2014년 9월 29일 (28일)RAW
35보 댈러스3회2014년 10월 26일 (90일)WWE 헬 인 어 셀(2014)
36세자로1회2015년 1월 23일 (11일)프갤 투표[19]
37지미 우소1회2015년 2월 2일 (33일)RAW[20]
38빅터1회2015년 3월 7일 (72일)WWE 메인 이벤트
39마초맨도우2회2015년 5월 18일 (3일)WWE 페이백(2015)
40히스 슬레이터1회2015년 5월 21일 (8일)스맥다운
41애덤 로즈1회2015년 5월 29일 (15일)WWE 슈퍼스타즈
42잭 라이더2회2015년 6월 13일 (35일)WWE 메인 이벤트
43애덤 로즈2회2015년 7월 18일 (90일)WWE 메인 이벤트
44세자로섹션1회2015년 10월 18일 (7일)프로레슬링 갤러리 자체선정[21]
45세스 롤린스1회2015년 10월 25일 (1일)프로레슬링 갤러리 자체선정[22]
46케인1회2015년 10월 26일 (67일)WWE 헬 인 어 셀(2015)
47히스 슬레이터2회2016년 1월 1일 (4일)프로레슬링 갤러리 자체선정
48돌프 지글러3회2016년 1월 5일(3일)RAW
49더 미즈1회2016년 1월 8일 (53일)스맥다운
50돌프 지글러4회2016년 3월 1일 (3일)RAW
51더 미즈2회2016년 3월 4일 (3일)스맥다운
52잭 라이더3회2016년 3월 7일 (5일)WWE 슈퍼스타즈
53타일러 브리즈1회2016년 3월 12일 (52일)WWE 메인 이벤트
54골더스트1회2016년 5월 3일 (48일)WWE RAW
55판당고1회2016년 6월 20일 (22일)WWE 머니 인 더 뱅크(2016)
56칼리스토1회2016년 7월 12일 (3일)WWE RAW
57타일러 브리즈2회2016년 7월 15일 (10일)WWE 스맥다운
58지미 우소2회2016년 7월 25일 (29일)WWE 배틀그라운드(2016)
59사이먼 고치1회2016년 8월 22일 (228일)WWE 섬머슬램(2016)
-공석-2017년 4월 6일WWE[23]
60에이든 잉글리쉬1회2017년 4월 14일 (83일)프로레슬링 갤러리 자체선정
61랜디 오턴1회2017년 7월 5일 (34일)WWE 스맥다운 라이브[24]
62진더 마할1회2017년 8월 8일 (7일)WWE 스맥다운 라이브[25]
63배런 코빈1회2017년 8월 15일 (20일)WWE 스맥다운 라이브[26]
64타이 딜린저1회2017년 9월 5일 (30일)WWE 스맥다운 라이브
65배런 코빈2회2017년 10월 4일 (5일)WWE 스맥다운 라이브
66타이 딜린저2회2017년 10월 9일 (153일)WWE 헬 인 어 셀(2017)
67모조 롤리1회2018년 3월 11일(64일)WWE 패스트 레인(2018)
68채드 게이블1회2018년 5월 14일(42일)WWE 메인 이벤트
69마이크 카넬리스1회2018년 6월 25일(98일)WWE 메인 이벤트
70노 웨이 호세1회2018년 10월 1일(129일)WWE 메인 이벤트
71타일러 브리즈3회2019년 2월 7일(7일)WWE 메인 이벤트
72사미르 싱1회2019년 2월 14일(125일)WWE 메인 이벤트
73린세 도라도1회2019년 6월 19일(14일)WWE 205 라이브
74사미르 싱2회2019년 7월 3일(121일)WWE 205 라이브
75알 트루스2회2019년 11월 1일(17일)WWE 크라운 주얼(2019)WWE 24/7 챔피언십과 함께 변경.
76사미르 싱3회2019년 11월 18일(647일)WWE RAW[27] ##[28]
77진더 마할2회2021년 8월 26일(44일)프갤 투표
78코피 킹스턴2회2021년 10월 11일(61일)WWE RAW
79제이 우소1회2021년 12월 11일(113일)WWE 스맥다운
80나카무라 신스케1회2022년 4월 3일(48일)WWE 레슬매니아 38
81새미 제인1회2022년 5월 21일(35일)WWE 스맥다운
82나카무라 신스케2회2022년 6월 25일(3일)WWE 스맥다운
83돌프 지글러5회2022년 6월 28일(28일)WWE RAW
84채드 게이블2회2022년 7월 26일(112일)WWE RAW
85맷 리들1회2022년 11월 15일(7일)WWE RAW
86채드 게이블3회2022년 11월 22일(105일)WWE RAW
87배런 코빈3회2023년 3월 7일(92일)WWE RAW
88트릭 윌리엄스1회2023년 6월 7일(70일)WWE NXT
89드류 굴락1회2023년 8월 16일(52일)WWE NXT
90단테 첸1회2023년 10월 7일(240일)NXT 레벨 업

3.1.2. RAW 자버스 챔피언십[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참고
1타이터스 오닐2회2017년 2월 26일 (41일)프로레슬링 갤러리
2커티스 액슬1회2017년 4월 8일 (30일)WWE MAIN EVENT
3커트 호킨스1회2017년 5월 7일 (701일)WWE MAIN EVENT
4스캇 도슨1회2019년 4월 8일(39일)WWE 레슬매니아 35
5린세 도라도1회2019년 5월 17일(34일)WWE 메인이벤트
폐지2019년 6월 20일프갤


3.1.3. AEW 자버스 챔피언십[편집]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
이벤트참고
1숀 스피어스1회2021년 8월 26일 (14일)프로레슬링 갤러리 투표[29]
2존 실버1회2021년 9월 9일 (21일)AEW 다이너마이트
3조라 졸1회2021년 9월 30일(현재 진행 중)AEW 다이너마이트


3.2. 역대 홀 오브 자버[편집]



3.2.1. 2021년 이전[편집]


#연도이름상세
12011년타이슨 키드1년에 3번 자버스 챔피언에 오르며 헌액.
22012년메이슨 라이언챔피언 등극 후 3달동안 WWE에서 잠적.(...)
32013년브로더스 클레이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4재비어 우즈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52014년보 댈러스1년에 자버스 챔피언을 3번 차지하는 위엄으로 헌액됨.
62015년애덤 로즈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72016년돌프 지글러통산 자버스 챔피언 3회 보유 충족
8잭 라이더통산 자버스 챔피언 3회 보유 충족
9사이먼 고치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102017년커트 호킨스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11배런 코빈역사상 최초로 머니 인 더 뱅크 캐싱인으로 자버스 챔피언에 등극한 것을 기념해 프로레슬링 갤러리 자체 투표로 헌액
122018년타이 딜린저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13마이크 카넬리스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142019년노 웨이 호세자버스 챔피언 3개월 이상 보유 충족
15타일러 브리즈통산 자버스 챔피언 3회 보유 충족
16사미르 싱통산 자버스 챔피언 3회 보유 충족


3.2.2. 2021년 이후[편집]




3.3. 역대 그랜드 슬래버[편집]



3.3.1. 2021년 이전[편집]


  • 메이슨 라이언 : 자버스 챔피언 보유월수가 6개월을 넘어서고야 말았다...
  • 사이먼 고치 : 마찬가지로 자버스 챔피언쉽을 6개월 이상 방어해내며 그랜드 슬래버 등극.
  • 커트 호킨스 : WWE에서 200연패이상를 기록하며 자버스 타이틀도 1년 이상 방어하였다.


3.3.2. 2021년 이후[편집]




4. 기타[편집]


사실상 프갤에서만 사용되는 우스개급의 타이틀이지만 자버스 챔피언과 비슷한 규정을 가지고 운영되는 타이틀이 실존하는데, 바로 일본의 엔터테인먼트 지향의 인디단체 DDT 프로레슬링의 킹 오브 다크 챔피언이 바로 그것이다. 이 타이틀 벨트의 규칙은 챔피언에게 직접 핀 폴 및 서브미션을 통해 패배한 선수들만이 획득하며, 실제로 방송되지 않는 다크매치에만 출전이 가능하고 방송용 경기에는 출전할 수 없게 된다. 다만 기간에 따른 챔피언의 박탈같은 규정은 존재하지 않는 차이점이 있다.
[1] 2017년 로스터 드래프트로 인해 스맥다운 자버스 챔피언십으로 분리됐었으나, 2019년 6월 RAW 자버스 챔피언십의 폐지에 따라 WWE 자버스 챔피언십으로 재통합.[2] 태그팀 경기, 제거 경기의 결과[3] 한 번 기록되더라도 다음 해에 또 기록될 수 있다. 즉, 2011년 홀 오브 자버는 2012년에도 홀 오브 자버가 될 수 있다.[4] 2017년 로스터 드래프트로 인해 스맥다운 자버스 챔피언십으로 분리됐었으나, 2019년 6월 RAW 자버스 챔피언십의 폐지에 따라 WWE 자버스 챔피언십으로 재통합.[5] 당시 설명에 의하면, "초대 자버 챔피언 후보로는 많은 선수가 있었으나 로우와 수퍼스타즈를 비롯해 10연패를 기록하며 그나마 존재감을 줬고 마리즈를 끼고 있는데도 열심히 패배에 힘쓰는 테드 디비아시로 정해졌습니다."[6] 당시 US 챔피언이 자버스 챔피언이 된 첫 사례.[7] 당시 퍼시 왓슨은 "NXT 신인"으로 공식 WWE 선수가 아니었기에 규칙상 1개월만 보유했다.[8] 처음으로 챔피언이 WWE 선수가 아닌 경우. 그리고 프로레슬링 계에서 일하는 인물도 아니다.(...) 프갤과의 갈등으로 챔피언이 된 경우다. 해당 링크 참조.[9] 프갤 투표 결과 만장일치로 자버스 챔피언이 됐더니 다음날 RAW에서 뜬금없이 US 챔피언 돌프 지글러를 잡아버리면서 챔피언 자리를 내줬다. 안 하던 짓을 하고 그래 프갤러들은 자버스 챔피언도 1일만 먹냐며 한탄했다.[10] 첫 월드 챔피언 출신 자버스 챔피언이자 당시 US 챔피언.[11] 존 모리슨이 WWE에서 떠나게 되어 박탈.[12] 당시 US 챔피언. 스웨거와의 경기는 US 챔피언십이었기에 경기 결과에 따라 양 선수가 챔피언벨트를 바꾸는 사태가 발생했다! 물물교환[13] 잭 라이더가 실제 부상으로 인해서 장기결장이 되자 프갤에서 투표 방식으로 밖에 뽑을수 없었는데, 이번 로얄럼블 경기에서 가장 짧은 시간 22초 링에 있던 자격으로 등극하였다.[14] 엘리미네이션 챔버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과 동시에 치러진 더블 챔피언십에서 자버스 챔피언 등극 인터컨티넨탈 타이틀과 자버 챔피언을 보유한 더블 타이틀 홀더 등극.[15] 카운트다운으로 등극[16] 메이슨 라이언이 지겹다고 박탈(…)[17] 당시 태그팀 챔피언이 자버스 챔피언이 된 첫 사례.[18] 연승을 깨고 자버챔이 된 사례[19] 보 댈러스가 한 달 이상 부상으로 자격 박탈.[20] 두번째로 태그팀 챔피언이 자버스 챔피언이 됨.[21] 프갤에서 어그로를 끌다가 탈탈 털린 한 유저에게 차기 챔피언 투표 전까지 임시승계. 이뭐병[22] 최초로 월드 챔피언이 자버스 챔피언에 등극[23] 사이먼 고치의 방출로 공석처리. 4월 10일에 있을 슈퍼스타 쉐이크-업 이후 투표로 결정 예정.[24] DQ패로 챔피언 등극.[25] 역대 2번째로 월드 챔피언이 자버스 챔피언에 등극.[26] 타이틀 창설 이래 처음으로 머니 인 더 뱅크 캐싱인에 실패하며 자버스 챔피언에 등극했다. 프로레슬링 갤러리 내부에서는 역대 최초로 머니 인 더 뱅크 캐싱인 실패로 자버스 챔피언에 등극한 배런 코빈을 곧바로 홀 오브 자버에 입성시켜야 한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중(...) 사실 자버스 챔피언에 캐싱인한 것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결국 갤러리 내부 투표를 통해 홀 오브 자버에 헌액되는 영광을 누렸다.[27] 트루스가 경기장에서 싱 브라더스를 쫓는 과정에서 지역 레슬러와 경기를 앞둔 로완을 자극했고, 로완은 트루스 대신 싱 브라더스를 더블 크로스라인으로 박살냈다. 이후 백스테이지 의료실로 들어온 사미르 싱을 의사로 위장 분장한 트루스가 기습해 3카운트를 얻어냈다.[28] WWE 24/7 챔피언십과 함께 변경.[29] WWE와 AEW 두 단체의 자버스 챔피언 등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8:03:00에 나무위키 자버스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